최종편집:2024-04-26 23:07 (금)
실시간
[인공지능대학원] AI 프로들의 ‘핫스페이스’,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 AI 프로들의 ‘핫스페이스’, 성균관대

  • 기자명 김동원, 구아현 기자
  • 입력 2024.03.14 15:06
  • 수정 2024.03.20 11:2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HE AI -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공동 기획]
③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 MEGA급 AI가 숨쉬는 곳
이지형 인공지능대학원장 “꼭 필요한 AI, 실무형 인재가 만든다”

[편집자 주] 한국에 인공지능대학원에 들어선 지 약 5년이 지났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2019년부터 AI 인재 양성과 연구 성과를 독려하기 위해 인공지능대학원 사업을 설립, 지원해왔습니다. 이후 인공지능대학원은 한국 AI 발전이라는 무거운 짐을 지고 달려왔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대학원에선 어떤 성과를 내고 있을까요? 인공지능 전문매체 THE AI와 IITP는 ‘인공지능대학원 특집’을 연재하며 대학원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집중 조명하고자 합니다. 2019년 처음 대학원을 설립한 5개 대학(KAIST, 고려대, 성균관대, GIST, 포항공대)을 시작으로 한국의 인공지능대학원의 상황을 심도 있게 보도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이 THE AI와의 인터뷰에서 본 대학원을 '메가(MEGA) 핫플레이스'라고 소개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구아현 기자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이 THE AI와의 인터뷰에서 본 대학원을 '메가(MEGA) 핫플레이스'라고 소개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구아현 기자

인공지능(AI) 메가 핫플레이스. 성균관대를 지칭하는 말이다.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은 2019년부터 시작해 AI 연구의 핫플레이스로 자리매김했다.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이 핫플레이스인 이유는 메가(MEGA)에서 찾을 수 있다. 이곳은 인공지능대학원 사업이 시작하던 5년 전부터 AI를 정의하기 시작했다. 처음부터 AI를 정의해야 올바른 인재 양성과 연구를 할 수 있단 생각에서였다. 여기서 탄생한 것이 메가다.

메가는 학문적으로 멀티모달(Multi-modal), 신속한(Expeditive), 생성형(Generative), 행동하는(Actionable)의 영어 앞 글자를 딴 약자다. 이 네 가지 기술은 5년 뒤인 지금 주목받고 있다. 생성형 AI는 물론, 텍스트와 이미지 등을 모두 이해하는 멀티모달, 온디바이스 형태의 신속한 AI, 상황을 인지 추론해 행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행동하는 AI 등 이 기술들은 지금 뜨겁게 떠올랐다. 성균관대는 이를 정확하게 예측했고, 5년 전부터 이에 맞춘 인재 양성과 연구를 진행해 AI 연구의 핫플레이스로 등극했다.

이지형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장은 “MEGA는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상황정보를 통합분석(M)해 실시간(E) 능동적(G)으로 대처(A)하는 AI를 뜻한다”며 “5년이 지나고 보니 우리의 예측이 맞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AI는 단독이 아닌 멀티모달로 혼합해야 하고 컴퓨팅 자원에 있어서도 가벼워야 하며 생성하고 액션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5년 전부터 AI를 이 MEGA를 주요 주제로 설정해 연구해 강점이 있고, 최근에는 반도체 쪽에도 연구를 진행하며 그야말로 AI 핫플레이스로 자리매김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AI 핫플레이스의 모습은 어떨까.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에서 이지형 원장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나눠봤다.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이 THE AI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 원장은 “실용적인 AI 인재 양성을 위해 산학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아현 기자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이 THE AI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 원장은 “실용적인 AI 인재 양성을 위해 산학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아현 기자

◇ “AI 프로를 꿈꾼다, 실용적인 AI를 만든다”

“성균관대에 있는 23명의 전임 교수가 있습니다.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뿐 아니라 MEGA 분야에서 고른 연구를 수행하는 최고 연구자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육과 연구에 참여하는 20명의 협력 교수도 다양한 학과의 교수들로 인공지능학과 학생들의 융합 연구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지형 원장은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에선 AI에 관한 실용적인 교육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발전 가능성이 멀티모달, 생성형 등의 MEGA 분야뿐 아니라 AI를 여러 산업에 응용하는 융합 관점을 중요시하고 있다고 했다. 그 일환으로 대학원에서는 지도교수 제도를 모든 학과로 오픈했다. 학생들이 AI 학과 교수가 아니더라도 모든 학과 교수에게 지도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 때문에 AI 학과 학생들은 의대, 기계과 등 다양한 학과에서 지도받으며 AI 지식과 도메인 지식을 함께 배양할 수 있다. 이 원장은 “공학은 삶과 밀접한 학문이므로 삶에 필요하지 않은 기술은 공학에서 의미가 없다”면서 “학생들이 실생활에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AI 인재는 단순히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프로(Professional)가 되려는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성균관대 AI대학원 연구실 모습./ 구아현 기자 
성균관대 AI대학원 연구실 모습./ 구아현 기자 
성균관대 AI대학원 연구실에서 한 학생이 열심히 연구를 하고 있다. /구아현 기자
성균관대 AI대학원 연구실에서 한 학생이 열심히 연구를 하고 있다. /구아현 기자

이러한 그의 교육관은 대학원의 연구 성과로도 이어졌다. 성균관대는 AI 톱 학회를 포함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대회에서 92건의 논문을 발표했다. 특히 국제머신러닝학회(ICML), 신경정보처리시스템학회(NeurIPS), 표현학습국제학회(ICLR) 등 머신러닝 3대 국제학회에서는 여기에 선정된 논문 중 상위 2%에만 기회가 주어진다는 구두 발표를 진행하기도 했다. 

실용 관점에서의 성과도 많다. 이주상 의과대학 교수팀의 성과가 대표 사례다. 이 교수팀은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존 개인 맞춤형 의료를 개선할 수 있는 의료 플랫폼 ‘셀렉트(SELECT)’를 개발했다. 세포 내에서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들과 네트워크를 이루며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암 치료와 직접 연결되는 합성치사 상호작용 선별과 관련한 모델이다. 연구팀은 암 환자의 치료에 직접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전자 네트워크를 밝히기 위해 빅데이터와 AI를 이용해 암 치료에 유익한 합성 치사 관계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이 연구는 세계 3대 과학학술지에 속하는 Cell에 실렸고,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는 등의 성과를 이뤘다. 의과대학과 인공지능대학원의 합작품이라고 볼 수 있는 성과다. 참고로 이 교수는 의과대학과 AI 학과 모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이 올바른 인재 양성과 연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구아현 기자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이 올바른 인재 양성과 연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구아현 기자

이외에도 대학원은 드론의 자율 비행과 원격 운용이 가능한 엣지 AI 플랫폼 구조의 핵심 기술 연구 등을 개발하며 드론 상용화에 앞장섰다. 이 연구 결과물 중 3건은 특허로 출원했고 플랫폼은 상용화를 논의하고 있다. 콘텐츠 분야의 성과도 있다. 대학원은 국가보훈처와 협력해 6·25 정전 70주년을 맞아 전쟁영웅의 훼손 사진을 복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국가보훈처에서 참전한 국군과 유엔군 장병들의 인물 사진을 제공하고, 대학원에선 다양한 AI 기술을 이용해 이 사진을 고화질 컬러 이미지로 복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부산 UN평화기념관에 전시됐다.

이 원장은 “우리는 AI 원천기술 확보와 더불어 실제 실용 관점의 교육과 연구에 대해 고민했고, 융합 프로젝트 등을 교내 과제로 운영하는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논문 수와 같은 단순한 지표를 넘어 실제 현장과 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성균관대 AI대학원 연구실에서 한 학생이 열심히 연구를 하고 있다. /구아현 기자
성균관대 AI대학원 연구실에서 한 학생이 열심히 연구를 하고 있다. /구아현 기자

◇ 진짜 AI 인재 양성소, 프로그램과 지원 강력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은 학생들이 실용적인 인재가 될 수 있도록 견문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환경도 제공하고 있다.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 전문가 초청을 1년에 20건 이상 진행하고 있고, 스탠퍼드대에 40명의 학생을 보내 AI 선진국이라 평가되는 미국의 지식도 학습할 수 있게 했다.

학생들이 자신의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콜로키움 행사’도 진행하고 있다. 우수한 논문 10~20편을 선정해 학생들이 직접 발표할 수 있게 한다. 단순 교내 행사가 아니라 외부에서도 들을 수 있게 했다. 세계 톱티어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논문이 한 자리에서 발표돼 청중의 반응이 좋다는 게 이 원장의 설명이다. 이외에도 창의자율프로그램을 운영해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자발적으로 제시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하고, 도전적으로 학문을 탐구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소정의 활동비도 지원한다.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은 학생들이 자신의 논문을 외부에 발표할 수 있는 ‘콜로키움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성균관대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은 학생들이 자신의 논문을 외부에 발표할 수 있는 ‘콜로키움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성균관대

진로 결정에도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기업들과 산학협력을 구축해 함께 연구하고 추후 취업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하고, 자율적으로 창업할 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주고 있다. 교수 창업도 적극적이다. 현재 대학원에서는 2건의 창업 사례가 나왔는데, 이 중 한 곳인 스카이칩스는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받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이 원장은 “우리는 학생들의 창의 자율 연구를 통해 연구개발(R&D) 과제의 연장선상에서 회사들이 필요로 하는 아이디어를 지도교수와 함께 도출해 교육과 기업이 개발 협력하고 있다”며 “산업체와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AI 클리닉’을 운영해 이를 토대로 산업체의 AI 애로 사항을 함께 연구하고 기술 변화에 관한 빠른 분석과 대응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정부와 경기도, 대학으로부터 받는 지원금의 60~70%를 학생들에게 직접 돌려주고 있다”며 “학생들이 하고 싶은 연구를 마음껏 하고 해외에서도 발표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하고 강력한 지원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성균관대 인공지능대학원 현황과 논문 성과. /THE AI

이지형 성균관대AI대학원장 인터뷰. /THE AI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